핵심기본간호술기: 단순도뇨 Nelaton catheterization
목적
1. 방광팽만을 완화한다.
2. 무균적으로 소변검사를 채위한다.
3. 배뇨 후 잔뇨량을 측정한다.
준비물 |
도뇨세트(소독액 담을 용기 1개, 소독솜 또는 거즈, 섭자), 멸균장감, 소독액, 멸균윤활제, 곡반, 단순도뇨관(5~10#), 멸균장갑, 1회용 장갑, 소변기, 손소독제, 간호기록지, 1회용 방수포 또는 고무표와 빈홑이불), 쟁반(Tray) |
핵심기본간호술기: 단순도뇨 Nelaton catherization |
대사(빨간색), 추가정보(파란색) |
1. 물과 비누로 손위생을 실시한다. |
- 미생물의 전파를 막아 감염의 기회를 줄이기 위함이다. |
2. 필요한 물품을 준비한다. |
|
3-1. 도뇨세트를 쟁반(tray)위에 놓고 무균적으로 편다. |
|
3-2. 도뇨세트의 종지에 소독솜을 넣고, 멸균 윤활제를 세트 내에 짜 넣는다. |
|
3-3. 적당한 크기의 도뇨관을 무균적으로 세트 속에 넣은 후 세트를 무균적으로 싼다. |
- 카테터의 크기가 적절하지 않음녀 요도를 팽창시키거나 요도와 방광경부에 상처를 입힐 수 있다. |
4. 준비한 물품을 가지고 대상자에게 가서 간호사 자신을 소개한다. |
|
5. 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실시한다. |
- 미생물의 전파를 방지한다. |
6. 대상자의 이름을 개방형으로 질문하여 대상자를 확인하고, 입원팔찌와 환자리스트(또는 처방지)를 대조하여 대상자의 이름과 등록번호를 확인한다. |
|
7. 대상자에게 단순도뇨를 하는 목적과 절차를 설명한다. |
|
8. 커튼(스크린)으로 대상자의 사생활을 보호해 주고, 앙와위로 눕힌 후 침구(이불 또는 홑이불)을 덮어준다. |
- 회음부 노출은 대상자를 당황하게 하고 수치심을 느끼게 할 수 있으므로 프라이버시를 지켜준다. |
9. 방수포를 대상자의 둔부 밑에 깐다. |
- 방수포는 습기로부터 침대를 보호할 수 있다. |
10. 대상자의 하의를 벗기고 무릎을 굽힌 후 60cm 가량 다리를 벌려 배횡와위를 취하도록 도와준다. |
- 이 자세는 소변물질들로 인한 오염위험성을 최소화하기에 적합하다. 대상자의 안정적인 자세는 이완을 증진시켜 생식기의 구조가 잘 보이도록 도와준다. |
11. 복부 위로 침구(또는 홑이불) 끝을 접어 올려서 회음부를 노출 시키고 대상자에게 다리를 움직이지 말라고 설명한다. |
|
12. 세트가 있는 쟁반(Tray)과 곡반을 다리사에 놓고 준비한 세트를 연다. |
- 세트를 가까이에 두면 사용하기에 편리하여 오염기회를 줄이며 무균법은 미생물 전파를 막을 수 있다. |
13. 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실시한다. |
- 미생물의 전파를 방지한다. |
14. 멸균장갑을 무균적으로 착용한다. |
|
15. 멸균장갑 낀 손이 오엽되지 않게 외음부의 노출된 부위에 공포(Hole Towel)을 마름모 꼴로 덮어준다. 그 다음 곡반으로 공포(Hole Towel)의 밑부분을 고정시켜준다. |
- 공포를 사용하면 멸균영역이 넓어져 오염되는 것을 막아주며 노출을 감소시킨다. |
16. 도뇨관의 끝(5cm)에 윤활제를 바르고, 소독솜으로 외음부 주위를 닦을 때 찬 느낌이 있을 수 있음을 설명한다. |
|
17. 소독솜으로 외음부 주위를 닦는다. (한 번 닦을 때 마다 새 솜을 사용하고 닦은 솜은 세트바깥포에 놓는다.) |
- 요도부위를 두 번 이상 닦는 것은 도뇨관 삽입 시 감염예방을 위함이다. |
18. 한 손의 엄지와 검지로 음순을 벌려서 요도를 노출시킨다. |
- 피부가 겹친 부위는 중심을 먼저 소독하여도 바깥부분에 의해 오염되므로 바깥부분을 먼저 소독하여야 한다. 따라서 회음부는 바깥쪽인 대음순, 소음순, 요도순으로 소독한다. 카테터 삽입을 쉽게 하기 위해 요도관을 곧게 한다. |
19. 다른 손으로 양 편의 대음순을 위에서 아래로 닦는다. |
|
20. 양 편의 소음순을 위에서 아래로 닦는다. |
|
21. 요도를 위에서 아래로 닦는다. |
|
*참고) 남자의 경우 |
|
22. 도뇨관을 삽입할 때까지 음순을 한 손으로 벌리고 있는다. |
|
23. 도뇨관을 삽입함을 대상자에게 설명하고 긴장을 풀도록 유도한다. |
|
24. 다른 손으로 도뇨관이 오염되지 않게 잘 감아쥐고 요도 후상방으로 5~8cm 삽입한다. |
- 여성의 요도 길이는 약 3.7~6.2cm이다. 도뇨관을 억지로 힘을 주어 삽입하면 점막에 손상을 준다. |
25. 소변이 흘러나오기 시작하면 도뇨관을 2~4cm 가량 더 삽입하여 소변이 곡반 속으로 흘러나오게 한다. |
|
26. 소변이 더 이상 흘러나오지 않게 되면 도뇨관을 천천히 돌리면서 뺴어 세트에 넣고, 마른 거즈로 요도구와 그 주위를 닦는다. |
- 도뇨관을 부드럽게 제거함을써 대상자의 불편을 덜어 준다. - 윤활제와 소독용액이 회음부에 남아있으면 피부를 자극할 수 있다. |
27. 공포(Hole Towel)를 치우고 장갑을 벗는다. |
|
28. 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실시한다. |
- 미생물의 전파를 방지한다. |
29. 대상자를 편안하게 해주고 1회용 장갑을 착용한 후 소변기에 곡반의 소변을 담아 양을 측정한다. |
|
30. 사용한 물품을 정리한다. |
|
31. 물과 비누로 손위생을 실시한다. |
- 미생물의 전파를 방지한다. |
32. 수행결과를 간호기록지에 기록한다. |
- 자세한 기록은 대상자의 간호를 계획하는데 중요하다. |
예상 퀴즈 문제 |
답 |
1. 여성의 도뇨관의 크기는? 남성의 도뇨관의 크기는? | A. 여성-6~7#, 남성7~8# |
2. 여성의 단순도뇨의 체위는? 남성의 단순도뇨의 체위는? | A. 여성- 배횡와위, 남성-앙와위 |
3. (여성)회음부의 소독 순서와 방향은? | A. 대음순-소음순-요도, 위에서 아래로 |
4. (남성)음경의 소독 순서와 방향은? | A. 한소의 엄지와 검지로 음경을 잡고 포피를 잡아당겨 요도를 소독솜으로 요도구 바깥쪽으로 둥글게 닦은 후에 버린다. |
5. 도뇨관의 삽입 방향과 삽입 길이는? | A. (여성인 경우) 요도 후상방으로 5~8cm (남성인 경우) 12~18cm |
6. 여성의 요도 길이는? | A. 약 3.7~6.2cm |
참고문헌
1. 제2판 핵심 기본간호수기, 양선희 외 공저, 2018. 현문사
'Nursing > - Study: core techniqu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핵심기본간호술: 근육주사 (0) | 2020.12.18 |
---|---|
핵심간호기본술 : 피하주사(간이 혈당측정 검사 포함) (0) | 2020.11.18 |
핵심기본간호술 : 경구투약 (0) | 2020.11.18 |
핵심기본간호술기: 기관절개관 관리 Tracheostomy care (0) | 2020.08.07 |
핵심기본간호술기: 유치도뇨 Foley catheterization (0) | 2020.08.0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