핵심기본간호술 : 경구투약
성취목표
1. 경구투약의 기본 원칙을 설명할 수 있다.
2. 경구투약을 준비할 수 있다.
3. 경구투약에 적절한 체위를 취하고 투약할 수 있다.
4. 경구투약 수행 후 기록할 수 있다.
필요장비 및 물품
투약카드(또는 컴퓨터 출력물) / 투약 컵 또는 약 봉지 / 투약카트 또는 트레이 / 코프시럽 약 병(실제 먹을 수 있는 것으로 준비) / 물, 물컵(필요시 빨대) / 휴지(또는 종이타월) / 손소독제 / 투약기록지, 간호기록지
수행시간: 7분
난이도: 하
Protocol
수행절차 | 이론적 근거 |
1. 물과 비누로 손위생을 실시한다. | - 미생물의 전파를 방지한다. |
2. 투약카트에서 대상자의 약물이 들어 있는 약포지를 꺼내어 투약처방(투약카드 또는 컴퓨터 출력물 등)과 투약원칙(5 rights: 대상자의 등록번호, 대상자명, 약명, 용량, 투여경로, 시간 등)을 확인한다. | - 의사의 투약처방 내용과 비교해 봄으로써 투약카드에 잘못 기록된 것을 확인할 수 있따. 의사의 투약처방이 정식 투야지시이다. |
3. 필요한 물품을 준비한다. | |
4. 준비한 물품을 가지고 대상자에게 가서 간호사 자신을 소개한다. "안녕하세요, 담당간호사 000입니다." |
|
5. 손소독제로 손위생을 실시한다. | - 미생물의 전파를 방지한다. |
6. 대상자의 이름, 등록번호 등을 개방형으로 질문하여 대상자를 확인하고, 입원팔찌, 투야가드(또는 컴퓨터 출력물)과 대조하여 대상자(이름, 등록번호)를 확인한다. "성함이 어떻게 되세요? 등록번호를 확인하기 위해 팔찌 한 번 확인하겠습니다.(팔찌랑 대조)" |
- 대상자 확인은 간호사의 책임이다. 가장 안전한 방법이며 대상자를 확인하는 이 방법은 대상자의 반응을 보는 것으로 질병 상태가 심하거나 낯선 한경에서 혼돈을 느낄 수 있다. 이름 확인 시 방문 앞이나 침상에 붙은 이름표로 확인하지 않는다. |
7. 약물 투여 목적과 작용 및 유의사항을 설명한 다음 약물에 대한 의문사항이 있으면 질문하도록 한다. "두통을 호소하셔서 아스피린을 투약하겠습니다. 구강건조나 오심, 구토 등의 이상반응이 있으시면 간호사를 즉시 불러주세요." |
|
8. 안거나 반좌위를 취하도록 하되, 앉는 것이 금기라면 측위를 취하도록 돕는다. "투약하기 편하도록 반좌위를 취해드리겠습니다." |
- 투약에 적합한 자세이다. |
9. 흘리지 않도록 휴지나 타월을 대준다. "물이 흐를 수도 있으니 타월을 대드리겠습니다." |
|
10. 구강건조로 연하곤란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침을 삼켜보거나 물을 한 모금 마셔보도록 한다. "삼키는 것을 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물을 마셔보도록 하겠습니다." |
|
11. 알약은 한꺼번에 복용하지 말고, 한 번에 한알씩 복용하도록 돕는다. 알약 복용 후에 물약을 복용하도록 한다. "(한 알의 약과 물을 건내주며) 약은 한 알씩 복용하도록 하겠습니다." |
- 투약 시 대상자 참여를 유도하고 용기를 준다. |
12. 약물을 다 삼킬 때까지 대상자 옆에 있으면서, 약물 복용 여부를 확인하기가 어려우면 대상자에게 말을 시켜보거나, 입을 벌려보도록 한다. "약을 다 삼켰는 지 확인하기 위해 입을 한 번 벌려주세요." |
- 대상자 차트는 법적인 의미를 갖는 기록이다. 투약은 반드시 대상자 곁에서 확인해야 한다. |
13. 투약 후에는 대상자가 편안한 체위를 취하도록 도와준다. | |
14. 물과 비누로 손위생을 실시한다. | - 미생물의 전파를 방지한다. |
15. 수행결과를 간호기록지와 투약기록지에 기록한다. 1) 5rights (대상자명, 약명, 용량, 투약경로, 투약시간) 2) 필요시 투약 목적, 환자의 반응, 투약 못한 이유 |
- 투약 후 즉시 기록함으로써 약물이 이중으로 투여되는 일이 없도록 한다. - 투약 거절 이유를 반드시 기록한다. |
728x90
반응형
'Nursing > - Study: core techniqu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핵심기본간호술: 근육주사 (0) | 2020.12.18 |
---|---|
핵심간호기본술 : 피하주사(간이 혈당측정 검사 포함) (0) | 2020.11.18 |
핵심기본간호술기: 기관절개관 관리 Tracheostomy care (0) | 2020.08.07 |
핵심기본간호술기: 유치도뇨 Foley catheterization (0) | 2020.08.04 |
핵심기본간호술기 단순도뇨 Nelaton catheterization (0) | 2020.08.04 |